본문 바로가기

철학 노트/서양철학29

치좀, “인간의 자유와 자아”: 양립불가능론 – 자유론​ 결정론과 자유의지의 양립불가능론 “결정론이 참이면 자유의지는 없다” à 그런데 자유의지(& 도덕적 책임)는 참이니까, 결정론이 거짓! à 어떻게 결정론이 거짓일 때 자유의지가 참일 수 있는 지를 보여야 할 필요가 있음. --> 원인은 있다! 그러나 결정론에서 얘기하는 원인사건이나 법칙에 포섭되는 어떤 상관관계가 아니다. 그렇다고 우발적으로 일어나지도 않는다. (결정론이 거짓인 것도 아님.) 완전히 다른 종류의 원인이 있다. “행위자 인과”: 나 자신(실체, 대상)이 행위의 원인이다! à 행위자 존재를 ‘영혼’이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다. 이들은 자유의지를 설명하기 위해 ‘영혼’이 있어야 한다며 실체이원론을 지지한다.à 사건 인과가 아니라는 말은, 법칙이 없다 = 예측불가능하다는 의미가 된다. 행위자가 힘.. 2022. 5. 24.
프랑크프르트, “의지의 자유와 사람의 개념”: 양립가능론 일차적 욕구 vs. 이차적 욕구 일차적 욕구 first-order desire: 어떤 행위를 하려는 욕구. 가령, 커피를 마시고 싶은 욕구, 여행을 가고 싶은 욕구 등. 의지 will: 일차적 욕구 중 실제로 행위자의 행위를 동기 유발하는 것. 이런 의미에서 의지는 실질적 욕구. 가령, 커피를 마시고 싶은 욕구가 실제로 나로 하여금 커피를 마시게 한다면 그 욕구는 나의 실질적 욕구, 즉 나의 의지이다. 이차적 욕구 second-order desire: 욕구에 대한 욕구. 예를 들어, “나는 커피를 마시고 싶기를 원한다.” “A는 X를 원한다”라는 진술에서 X는 일차적 욕구.cf. 이차적 의욕이 아닌 이차적 욕구: 마약중독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마약에 대한 욕구를 가지기를 원하는 정신과의사의 경우 – 마약을.. 2022. 5. 24.
​베르그손의 이미지, 영화-이미지 ​물질 = 이미지 베르그손에게 물질이란 ‘이미지들’의 총체이다. 여기에서 이미지란, 관념론자가 표상이라고 부르는 것과 실재론자가 사물이라고 부르는 것 중간에 위치한다. 이미지는 실재하는 것의 심리적 표상이 아니라, 그 자체로 존재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커피가 쓰다면, 우리가 커피가 쓰다고 느낄 뿐 아니라 커피 그 자체가 실제로 쓰다는 것이다. 버클리의 “존재는 지각이다”라는 말은 이러한 베르그손의 생각을 잘 보여준다. 버클리에게 존재하는 것은 지각되어야만 하듯이, 베르그손에게 존재하는 대상은 그 주변과 상호작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우리는 책상을 보고, 책상은 우리에게 보인다. 이러한 의미에서 우리들 또한 이미지인데, 살아있는 이미지가 다른 이미지와 다른 점은 작용과 반작용 사이에 어떠한 간격, 비결정.. 2022. 5. 24.
​지각-이미지 지각: 덜어내다 관념론자들, 특히 칸트에 있어서 우리가 무엇인가를 지각하기 위해서는 밖의 감성들에 내가 가지고 있는 범주들을 더해야 했는데, 들뢰즈는 그와 다르게 말한다. 사물들은 그 자체로 있는 이미지이며, 우리가 어떤 것을 지각할 때는 그 이미지들 중에 특정한 부분을 ‘덜어내는’ 것이다. 키노-아이 모든 만물이 상호변용을 일으키는 이미지라는 것을 잘 보여주는 영화적 이념이 베르토프의 “영화-눈(키노-아이)”이다. 에서 우리는 기차 레일에서 달리는 기차를 올려다볼 수 있고, 달리는 마차 위에서 다른 마차가 달리는 것을 볼 수도 있다. 카메라의 비-인간적인 눈을 통해, 우리는 인간이 지각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선 것을 본다. 이때 운동은 사물의 속성이라고 할 수 없으며, 영화를 통해 우리는 마침내 사물을.. 2022. 5. 24.
변용-이미지 “감각 신경 위의 운동적 경향” 살아있는 이미지의 작용과 반작용 사이에는 어떠한 간격, 비결정성이 생기고, 그것은 정서(affect)로 나타난다. 베르그손은 이를 “감각 신경 위의 운동적 경향”이라고 정의한다. 예를 들어, 벽시계에는 어떤 것을 수용하는 듯한 판이 있고, 미시적인 운동을 하는 침들이 있는데, 아직 침이 나아가지 않고 그 미시적인 운동이 일어나려고 할 때 발생하는 것이 정서이다. 클로즈업 드레이어의 은 극단적인 클로즈업으로 정서를 보여준다. 우리는 잔다르크의 얼굴을 보고 공포를 읽어낸다. 이처럼 정서를 가장 잘 표현하는 것은 얼굴이지만, 다른 사물도 “반영하는 표면과 강렬한 미시-운동들”의 두 요소를 가진다면 정서를 표현할 수 있다. 사물이 “얼굴화”되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얼굴은 .. 2022. 5. 24.
행동-이미지 행동-이미지 ​ ​ 행동-이미지는 작용에 대한 반작용이 일어나는 이미지이다. 이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큰 형식 첫째는 상황에서 행동으로 이어지는 ‘큰 형식’이다. S – A – S’ 큰 형식의 가장 대표적인 장르는 웨스턴이다. 전형적인 웨스턴 영화에서는 ‘인디언이 습격하는 상황’처럼 외부로부터 어떤 환경이 주어지고, 인물은 그 환경에 맞설 행동을 요구 받는다. 인물이 어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간다는 점에서, 웨스턴 장르는 지금의 액션 영화들이나 다큐멘터리로 변주된다. 버스터 키튼은 코미디언으로서 드물게 큰 형식을 취한다. 작은 형식 둘째는 행동에서 상황으로 이어지는 ‘작은 형식’이다. A – S – A’ 영화는 갑자기 어떠한 행동에서 출발하는데, 그 행동이 낳은 상황은 새로운.. 2022. 5.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