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7 칸트, 원초적 계약 법에 의거한 사회형성의 길 – 원초적 계약 인간은 투쟁적 자연상태를 벗어나 현상세계를 합법적 질서의 시민사회로 변화시키는데, 그것을 가능케하는 보편적 질서가 법이다. 법이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것은 소유의 배타성에서 오는 갈등을 해소하는 것인데, 이는 사물에 대한 인간 각자의 소유를 보장함으로써만 가능하다. 자연상태에서의잠정적 소유는 오직 사적으로만 확보될 뿐이며, 침해당해도 자신의 힘으로 저항할 수밖에 없고, 따라서 언제나 불안정한 상태에 있으며 소유를 둘러싼 갈등은 지속될 수밖에 없다. 인간은 그러한 갈등을 종식시키기 위해 잠정적 소유를 사회적 법이 보장하는 확정적 소유로 전환시키기를 원하게 되며, 이를 위해 상호 계약을 맺는다. 이처럼 투쟁적 자연상태에서의 갈등과 대립을 벗어나기 위해 인간 이성.. 2023. 2. 14. 칸트, 입헌공화국과 국제 연맹 공법에 따라 각인의 자유를 보장하는 법적 상태는 국가에 의해 실현된다. 국가는 3 권력 – 지배력(입법), 통치자의 수행적 권력(행정), 법관의 재판권력(사법)을 가지는데,그들이 하나로 모여 있을 경우 전제주의가 된다. 이 경우 지배자가 임의적으로 법을 제정함로써 공동체 내 법의 정신이 사라지게 된다. 법의 정신을 가장 잘 살리는 정치형태는 전제정치의 반대인 공화제이다. 공화제는 입법을 행정과 분리시키고 그 입법의 근거를 원초적 계약의 이념에 따라 국민 전체의 통일된 의지에서 구하는 입헌적 정치체제이다. 국민의 통일된 의지만을 입헌의 근거로 삼는다는 점에서는 칸트와 루소의 입헌제 주장이 동일하지만, 루소는 직접민주제를 주장한 데 반해, 칸트는 그 의지가 기능적으로 대변될 수 있다고 (주권의 주체로서의 국.. 2023. 2. 13. 칸트, 인간과 역사 자연에서 자유로의 이행 칸트는 인간이 자연적 경향성이나 인과필연성에 따라 행하는 것과 이성의 자유로운 선택에 의해 행하는 것을 구분한다. 전자는 물리생리적 법칙성에 따라 발생하는 필연적 과정, 후자는 초월적 자유의 자아가 스스로 선택하여 수행하는 자율적 행위이다. 자연/자유, 필연성/자유, 신체/정신, 경향성/이성 – 인간 본성상의 이원적 갈등은 곧 인간의 자기부정성과 자기 극복의 필요성을 말해주며 보다 나은 상태로 나아가게끔 하는 원동력이 된다. 따라서 인간은 스스로 평온한 자연상태로부터 벗어나 견디기 힘든 세간적 삶으로 나아간다. 낙원으로부터의 추방을 칸트는 그러한 과정으로 읽는다. 아무런 내적 갈등 없이 낙원에 머물러 있는 생활은 동물적 안락함과 빈둥거림일 뿐, 영예로운 것도 바람직한 것도 아니다... 2023. 2. 12. 헤겔, 지각 지각자와 지각대상 지각에서는 지각자/지각대상이 주관/객관으로 이원화되며, 그에 따라 본질/비본질의 구분이 성립한다. 본질로 여겨지는 것은 사물 자체이며, 그 대상을 지각하는 의식운동인 지각의 활동 자체는 비본질로 간주된다. 지각에서는 사물을 단적으로 직접 안다고 여기지 않고, 보편적 속성을 통해 알게 된다고 여긴다. 사물의 두 계기 지각은 사물을 그 자체로 안다고 여기는 의식이 아니라, 그 속성을 통해서 안다고 여기는 의식이다. 즉, 지각의 대상은 “여러 속성들을 가지는 사물”인데, 이때 사물은 두 계기를 지니게 된다. 무관심적 역시 – 속성들의 결합: 사물의 속성들 간에는 서로 간섭하지 않은 채 동일한‘여기’에 모여 있는 상호 무관심적 관계가 성립한다. 나아가 속성은 보편자적 성격을 갖는다. 사물은 그.. 2023. 2. 11. 헤겔, 오성 힘과 오성: 현상과 초감각적 세계 상호이행으로서의 힘 – 두 개의 힘 발현하는 힘: 외적 다양성의 방향으로 자신을 전개하는 힘 – 외화 밀쳐진 힘 / 본래적 힘: 그로부터 다시 일자의 방향으로 복귀하는 힘 (다시 내면으로 향하는 힘) 힘은 일과 다로 상호이행해 가는 운동성이며, 일과 다는 그 힘의 이행과정에서 드러나는 두 모습일 뿐이다. (1) 힘을 내적 일자로 이해한다면, 내면을 외부로 표출시키고 전개시키는 것은 힘 외적인 것 같지만, 사실 그러한 표출 또한 힘 자체 안에 이미 갖추어진 것이다. 일자로 정립된 힘이 표출되어 드러난 것이 다양한 성질들로 표현되는 공통의 매개체인 것이다. (2) 그래서 힘을 물질의 매개체라고 정립하면 다시 일자는 그 힘 바깥의 것 같지만, 그렇게 표출된 힘이 지양되면서 자.. 2023. 2. 10. 헤겔, 욕구 욕구의 자기의식 자기의식의 두 양상 자기의식은 대상의식의 기저에 이미 존재하지만, 그것이 의식으로 자각되기 위해서는 대상의식으로부터 자기 자신에로 복귀하는 의식활동 (반성적 복귀운동)이 요구된다. 자신으로부터 대상을 구별하였다가 다시 자기에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1. 이론적 자기의식: 대상에 아무 작용도 가하지 않고 복귀하는 자기의식. 대상의 구별과 구별의 지양. 2. 실천적 자기의식: 대상에 작용을 가하고 복귀하는 자기의식. 구별의 지양에서 대상을 부정함. = 욕구 이론적 자기의식의 동일성은 ‘나는 나다’라는 아무 운동 없는, 단순한 동어반복적 동일성일 뿐이다. 반면, 실천적 자기의식은 대상을 부정함으로써 자기 자신으로 복귀하고자 하는데, 이것이 ‘욕구’이다. 욕구의 의식 욕구의 의식은 대상을 부정함으.. 2023. 2. 9. 헤겔, 주인과 노예 자기의식의 자립성과 비자립성: 주인과 노예 인정의 논리 의식이 사물과 마주하게 되면, 그 사물을 의식하는 대상의식이 된다. 반면, 의식이 다른 자기의식을 만나면, 그 다른 의식에 의해 대상화됨으로써 스스로를 즉자적 사물로 느끼게 된다. 그러나 그 다른 자기의식이 나를 대상적 사물이 아닌 대자적 자기의식으로 인정해주면, 비로소 나는 나 자신을 자기의식으로 의식한다. 다른 자기의식의 인정이 진정한 인정이기 위해서는 나도 그를 인정해야 한다. (1)자기의식에 대해 어떤 다른 자기의식이 등장하면, 자기의식은 그 다른 의식에 의해 대상화됨으로써 대자성을 상실한다. (2) 그러나 타자의 인정을 통해 나는 다시 나의 의식성을 자각한다. 결국 타자 안에서 자기 자신을 보게 되며, 타자를 지양하게 된다. (3) 그러나 .. 2023. 2. 9. 헤겔, 금욕주의 금욕주의의 생성 노동을 사역당한 노동으로만 의식하는 노예의식에는 존재와 사유, 즉자와 대자가 서로 분리되어 나타난다. 따라서 노예는 자신을 형성의 주체, 진정한 대자존재로 자각하지 못한다. 그러나 노동의 본질을 자각한 우리에게는 사물의 형식인 존재구조와 대자적 존재인 사유구조가 하나로 자각된다. 이렇게 사유와 존재의 동일성의 자각을 통해 존재의 속박으로부터 해방된 자기의식이 “금욕주의”의 자기의식이다. 금욕주의의 자기의식은 대상과 의식, 즉자존재와 대자존재의 통일 속에서 사유하며, 자신의 규정성을 자체 내에 지니고 타자에 의해 제약받지 않음으로써 ‘자유로운 의식’으로 남는다. 여기서 자유로운 자기의식의 활동성은 곧 형식부여의 사유인데, 이 사유 속에 주어지는 것은 의식과 다른 존재로서 표상되는 개별 존재.. 2023. 2. 8. 헤겔, 회의주의 회의주의의 생성 금욕주의가 추상적 사유의 동일성에만 안착한 주인의 이상(자유)에 해당한다면, 회의주의는 그 이상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고자 하는 노예의 노동에 상응한다. 금욕주의가 선취된 동일성의 사유에 머물러 있다면, 회의주의는 그 사유된 동일성을 실제로 확인하기 위해 현상적 차이를 부정하고 사유의 동일성으로 다시 복귀하는 활동을 수행한다. 그렇게 해서 금욕주의의 추상적 자유를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금욕주의에서 단순히 형식적 통일성으로 사고되었던 나의 통일성이 실제적으로 타자의 부정이라는 변증법적 운동을 거쳐 도달된 실제적 자유라는 것을 다시 한번 더 확인하는 의식이다. 회의주의 의식의 활동 금욕주의에서는 형식과 내용(규정성)이 대립으로 남아 있다면, 회의주의의 의식은 이 타자(내용규정성.. 2023. 2. 7. 헤겔, 불행한 의식 금욕주의에서는 주인의 자유의식이 단지 추상적 자유로서 사고될 뿐인데 반해, 회의주의에서는 사물을 변형시키는 노예의 노동이 대상의 부정을 통해 자기 자유를 실현해 가는 의식의 활동성으로 전개된다. 그러나 그러한 회의주의적 활동에는 자기분열적이고 자기모순적인 계기가 남아 있는데, 그 모순적 계기를 자신의 계기로 자각한 의식이 바로 자기모순을 자각한 의식, 그래서 불행한 의식이다. 본질과 비본질의 모순은 곧 불변자와 개별자의 모순이기도 하다. 불행한 의식은 이러한 자체 내의 모순을 화해시키고 조화시켜 나감으로써 자신의 불행을 극복하게 되는데, 이 과정을 거쳐 자기의식은 비로소 정신이 된다. 자신의 내면에서 자체 내의 분열과 모순, 자신의 운명적 불행을 극복한 정신이 바로 ‘나 즉 우리, 우리 즉 나’로 승화된.. 2023. 2. 6. 필연성과 가능성 필연성과 가능성은 서로 상호적으로 정의된다. P가 가능하다 = P의 거짓이 필연적이지 않다. (P가 참인 가능 세계가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P가 필연적이다 = P의 거짓이 가능하지 않다. (모든 가능한 상황에서 P가 참이다.) 3 종류의 가능성 ① 기술적 가능성: 현재의 기술 상태에서 어떤 것을 실현하는 방법이 있을 때. 예) 서울에서 부산까지 10분 만에 가는 기차는 기술적으로 불가능 ② 물리적 가능성: 어떤 것이 일어난다고 가정하는 것이 물리 법칙에 어긋나지 않을 때. 예) 하늘을 나는 강아지는 물리적으로 불가능 ③ 논리적/형이상학적 가능성: 어떤 것이 일어난다고 가정하는 것이 논리 법칙과 어긋나지 않을 때. (그것을 논리적 모순 없이 생각/상상할 수 있을 때) >>> 가장 넓은 의미의 가능성. .. 2023. 2. 5. Custom shader가 scene view에서 다른 UI에 가려지는 문제 해결 게임 뷰에서는 문제가 없으나, 씬 뷰에서는 다른 UI 이미지들에 가려서 캐릭터가 안 보이고 있다. shader graph 열어서 > Graph Inspector > Graph Settings > Surface Type를 Transparent로 변경해주니 해결되었다. (마지막엔 꼭 Save Asset 버튼 누르기.) 짠 2023. 2. 4. 마음에 관한 두 입장: 실체이원론 vs. 물리주의 “마음을 갖는다”: 감각경험을 하는 것, 지각하는 것? >>> 이는 동물도 할 수 있다. 생각, 사고, 감정 등이 우리 마음의 능력들이라 할 수 있다. 특히, 결정하고, 숙고하고 합리적인 선택을 하고, 의도하고 의지하는 능력/정신현상은 인간만에게 고유하다. 물리주의/이원론은 어떤 지점에서 갈라지는가? >>> 정신의 능력을 위한 ‘영혼’이라는 비물질적 실체가 필요하냐는 것. 실체이원론 (데카르트) 데카르트의 “실체” 정의: “다른 것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존재하는 것.” 마음을 가지기 위해서는 반드시 영혼을 가져야 한다. ① 세계에는 본성적으로 다른 두 종류의 실체가 존재한다 >>> 물질적 실체 + 비물질적 실체. ② 인간은 두 실체로 구성된 복합체이다. >>> 몸 + 영혼. (데카르트는 세계에 두 종류.. 2023. 2. 4. 유니티 폰트 한글 깨짐 해결 방법 한글이 네모로 깨져서 보이는 현상을 해결해보자. 일단 한글 폰트가 있어야 한다. https://cactus.tistory.com/193 둥근모꼴+Fixedsys 둥근모꼴+ Fixedsys 1.3 가나다라마바사아자차카타파하힣 ㄱㄲㄴㄷㄸㄹㅁㅂㅃㅅㅆㅇㅈㅉㅊㅋㅌㅍㅎㄳ ㅏㅐㅑㅒㅓㅔㅕㅖㅗㅘㅙㅚㅛㅝㅞㅟㅠㅡㅢㅣ ABCDEFGHIJKLMNOPQRSTUVWXYZ abcdefghijklmnopqrstuvwxyz 1234567 cactus.tistory.com 나의 경우 둥근모꼴 TTF 파일을 받아서 유니티 프로젝트 경로에 넣어주었다. TTF 파일에 우클릭 > Create > TextMeshPro > Font Asset 클릭하면, 위에 보이는 것처럼 SDF 애셋이 만들어진다. 이 애셋을 원하는 TMP Text 애셋에 Font.. 2023. 2. 3. AWS 리눅스 머신에 열려있는 port 알아내기 아래와 같이 쳐주면 된다. sudo ss -tulpn 2023. 2. 3.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