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들뢰즈3

​베르그손의 이미지, 영화-이미지 ​물질 = 이미지 베르그손에게 물질이란 ‘이미지들’의 총체이다. 여기에서 이미지란, 관념론자가 표상이라고 부르는 것과 실재론자가 사물이라고 부르는 것 중간에 위치한다. 이미지는 실재하는 것의 심리적 표상이 아니라, 그 자체로 존재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커피가 쓰다면, 우리가 커피가 쓰다고 느낄 뿐 아니라 커피 그 자체가 실제로 쓰다는 것이다. 버클리의 “존재는 지각이다”라는 말은 이러한 베르그손의 생각을 잘 보여준다. 버클리에게 존재하는 것은 지각되어야만 하듯이, 베르그손에게 존재하는 대상은 그 주변과 상호작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우리는 책상을 보고, 책상은 우리에게 보인다. 이러한 의미에서 우리들 또한 이미지인데, 살아있는 이미지가 다른 이미지와 다른 점은 작용과 반작용 사이에 어떠한 간격, 비결정.. 2022. 5. 24.
행동-이미지 행동-이미지 ​ ​ 행동-이미지는 작용에 대한 반작용이 일어나는 이미지이다. 이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큰 형식 첫째는 상황에서 행동으로 이어지는 ‘큰 형식’이다. S – A – S’ 큰 형식의 가장 대표적인 장르는 웨스턴이다. 전형적인 웨스턴 영화에서는 ‘인디언이 습격하는 상황’처럼 외부로부터 어떤 환경이 주어지고, 인물은 그 환경에 맞설 행동을 요구 받는다. 인물이 어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간다는 점에서, 웨스턴 장르는 지금의 액션 영화들이나 다큐멘터리로 변주된다. 버스터 키튼은 코미디언으로서 드물게 큰 형식을 취한다. 작은 형식 둘째는 행동에서 상황으로 이어지는 ‘작은 형식’이다. A – S – A’ 영화는 갑자기 어떠한 행동에서 출발하는데, 그 행동이 낳은 상황은 새로운.. 2022. 5. 24.
베르그손, 재인식, 묘사 재인식 – 묘사 베르그손에 따르면, 두 종류의 재인식이 있다. 첫째는 자동적이고 습관적인 재인식이다. 소가 풀을 알아보듯이 또는 우리가 신호등을 알아보듯이, 유용성을 기준으로 자동적인 재인식이 일어난다. 그러나 이러한 감각-운동 이미지는 사물에서 우리의 흥미를 끄는 것만 취한 것에 불과하다. 둘째는 주의를 기울이는 재인식이다.. 이때 우리는 같은 사물에 대해 이전까지 알지 못했던 것을 다른 수준에서 재인식하게 된다. 로셀리니의 영화 에서의 공장은 마치 추상회화처럼 점, 선, 면 등 기하학적인 요소와 시끄러운 소리 등이 분리되고 강조되어 있다. 등장인물이 그에 반작용하지 않고 그것을 주의 깊게 보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공장을 다른 수준에서 재인식할 수 있다. 두번째 종류의 재인식은 우리에게 일차적으로 유용.. 2022. 5.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