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 노트/서양철학

운동-이미지에서 시간-이미지로

by 엔티쟈 2022. 5. 24.

히치콕  운동-이미지의 위기

지각변용행동으로 나아가는 운동-이미지, 즉 감각-운동 도식은 와해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운동-이미지의 위기를 보여주는 것이 히치콕의 영화이다. <이창>에서 주인공은 다리를 다친 채, 마치 관객처럼 의자에 앉아있기 때문에 직접 사건을 추적할 수 없다. <현기증>의 주인공도 마찬가지로 결정적인 순간에 행동으로 나아가지 못한다.   

 

 

네오리얼리즘  바쟁 – “순수 시각적 상황

2차세계대전을 전후로 이탈리아에서는 네오리얼리즘 영화가 등장한다. 네오리얼리즘 영화에서는 조명이나 지나가는 사람들을 통제할 수 없었다. 영화에는 도약, 비약, 생략이 많으며 따라서 내러티브의 인과관계도 느슨하다. 또한 네오리얼리즘 영화의 주인공은 상황에 압도당하며, 그 상황에 맞서 어떠한 행동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무기력 상태에 놓인다. 예를 들어 <움베트로 D>의 하녀나 <독일영년>의 에드문트는 견디기 힘들고, 비참한 상황에 처하지만, 그 상황을 보고있는 것밖에 별다른 행동으로 나아가지 못한다.

바쟁에 따르면, 이전 영화들이 감독에 의해 해석된 세계를 보여준 반면, 네오리얼리즘 영화는 현실을 보여주고, 그 현실에 대한 해석을 관객의 몫으로 둔다. 영화가 해독된 실재를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해독해야 할 실재를 마주보게 한다는 것이다.

운동-이미지에서는 쁠랑의 몽타주를 통해 영화의 시간을 간접적으로 재현했다면, 시간-이미지에서는 몽타주를 거치지 않고 쁠랑이 시간을 직접적으로 현시한다. 쁠랑이 하나의 시퀀스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이는 쁠랑-세캉스라고 부를 수 있다. 이때 벌어지는 것은 순수 시각적 상황이고, 이러한 의미에서 시간-이미지 영화는 보는 자의 영화이다.

 

 

 

- 이찬웅 교수님의 강의를 듣고

 

'철학 노트 > 서양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르그손의 이미지, 영화-이미지  (0) 2022.05.24
​지각-이미지  (0) 2022.05.24
변용-이미지  (0) 2022.05.24
행동-이미지  (0) 2022.05.24
시간-이미지  (0) 2022.05.24
베르그손, 재인식, 묘사  (0) 2022.05.24
베르그손, 기억  (0) 2022.05.24
칸트 - 수학적 이율배반, 심성론적 이율배반  (0) 2022.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