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노트/서양철학29 칸트, 원초적 계약 법에 의거한 사회형성의 길 – 원초적 계약 인간은 투쟁적 자연상태를 벗어나 현상세계를 합법적 질서의 시민사회로 변화시키는데, 그것을 가능케하는 보편적 질서가 법이다. 법이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것은 소유의 배타성에서 오는 갈등을 해소하는 것인데, 이는 사물에 대한 인간 각자의 소유를 보장함으로써만 가능하다. 자연상태에서의잠정적 소유는 오직 사적으로만 확보될 뿐이며, 침해당해도 자신의 힘으로 저항할 수밖에 없고, 따라서 언제나 불안정한 상태에 있으며 소유를 둘러싼 갈등은 지속될 수밖에 없다. 인간은 그러한 갈등을 종식시키기 위해 잠정적 소유를 사회적 법이 보장하는 확정적 소유로 전환시키기를 원하게 되며, 이를 위해 상호 계약을 맺는다. 이처럼 투쟁적 자연상태에서의 갈등과 대립을 벗어나기 위해 인간 이성.. 2023. 2. 14. 칸트, 입헌공화국과 국제 연맹 공법에 따라 각인의 자유를 보장하는 법적 상태는 국가에 의해 실현된다. 국가는 3 권력 – 지배력(입법), 통치자의 수행적 권력(행정), 법관의 재판권력(사법)을 가지는데,그들이 하나로 모여 있을 경우 전제주의가 된다. 이 경우 지배자가 임의적으로 법을 제정함로써 공동체 내 법의 정신이 사라지게 된다. 법의 정신을 가장 잘 살리는 정치형태는 전제정치의 반대인 공화제이다. 공화제는 입법을 행정과 분리시키고 그 입법의 근거를 원초적 계약의 이념에 따라 국민 전체의 통일된 의지에서 구하는 입헌적 정치체제이다. 국민의 통일된 의지만을 입헌의 근거로 삼는다는 점에서는 칸트와 루소의 입헌제 주장이 동일하지만, 루소는 직접민주제를 주장한 데 반해, 칸트는 그 의지가 기능적으로 대변될 수 있다고 (주권의 주체로서의 국.. 2023. 2. 13. 칸트, 인간과 역사 자연에서 자유로의 이행 칸트는 인간이 자연적 경향성이나 인과필연성에 따라 행하는 것과 이성의 자유로운 선택에 의해 행하는 것을 구분한다. 전자는 물리생리적 법칙성에 따라 발생하는 필연적 과정, 후자는 초월적 자유의 자아가 스스로 선택하여 수행하는 자율적 행위이다. 자연/자유, 필연성/자유, 신체/정신, 경향성/이성 – 인간 본성상의 이원적 갈등은 곧 인간의 자기부정성과 자기 극복의 필요성을 말해주며 보다 나은 상태로 나아가게끔 하는 원동력이 된다. 따라서 인간은 스스로 평온한 자연상태로부터 벗어나 견디기 힘든 세간적 삶으로 나아간다. 낙원으로부터의 추방을 칸트는 그러한 과정으로 읽는다. 아무런 내적 갈등 없이 낙원에 머물러 있는 생활은 동물적 안락함과 빈둥거림일 뿐, 영예로운 것도 바람직한 것도 아니다... 2023. 2. 12. 헤겔, 지각 지각자와 지각대상 지각에서는 지각자/지각대상이 주관/객관으로 이원화되며, 그에 따라 본질/비본질의 구분이 성립한다. 본질로 여겨지는 것은 사물 자체이며, 그 대상을 지각하는 의식운동인 지각의 활동 자체는 비본질로 간주된다. 지각에서는 사물을 단적으로 직접 안다고 여기지 않고, 보편적 속성을 통해 알게 된다고 여긴다. 사물의 두 계기 지각은 사물을 그 자체로 안다고 여기는 의식이 아니라, 그 속성을 통해서 안다고 여기는 의식이다. 즉, 지각의 대상은 “여러 속성들을 가지는 사물”인데, 이때 사물은 두 계기를 지니게 된다. 무관심적 역시 – 속성들의 결합: 사물의 속성들 간에는 서로 간섭하지 않은 채 동일한‘여기’에 모여 있는 상호 무관심적 관계가 성립한다. 나아가 속성은 보편자적 성격을 갖는다. 사물은 그.. 2023. 2. 11. 헤겔, 오성 힘과 오성: 현상과 초감각적 세계 상호이행으로서의 힘 – 두 개의 힘 발현하는 힘: 외적 다양성의 방향으로 자신을 전개하는 힘 – 외화 밀쳐진 힘 / 본래적 힘: 그로부터 다시 일자의 방향으로 복귀하는 힘 (다시 내면으로 향하는 힘) 힘은 일과 다로 상호이행해 가는 운동성이며, 일과 다는 그 힘의 이행과정에서 드러나는 두 모습일 뿐이다. (1) 힘을 내적 일자로 이해한다면, 내면을 외부로 표출시키고 전개시키는 것은 힘 외적인 것 같지만, 사실 그러한 표출 또한 힘 자체 안에 이미 갖추어진 것이다. 일자로 정립된 힘이 표출되어 드러난 것이 다양한 성질들로 표현되는 공통의 매개체인 것이다. (2) 그래서 힘을 물질의 매개체라고 정립하면 다시 일자는 그 힘 바깥의 것 같지만, 그렇게 표출된 힘이 지양되면서 자.. 2023. 2. 10. 헤겔, 욕구 욕구의 자기의식 자기의식의 두 양상 자기의식은 대상의식의 기저에 이미 존재하지만, 그것이 의식으로 자각되기 위해서는 대상의식으로부터 자기 자신에로 복귀하는 의식활동 (반성적 복귀운동)이 요구된다. 자신으로부터 대상을 구별하였다가 다시 자기에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1. 이론적 자기의식: 대상에 아무 작용도 가하지 않고 복귀하는 자기의식. 대상의 구별과 구별의 지양. 2. 실천적 자기의식: 대상에 작용을 가하고 복귀하는 자기의식. 구별의 지양에서 대상을 부정함. = 욕구 이론적 자기의식의 동일성은 ‘나는 나다’라는 아무 운동 없는, 단순한 동어반복적 동일성일 뿐이다. 반면, 실천적 자기의식은 대상을 부정함으로써 자기 자신으로 복귀하고자 하는데, 이것이 ‘욕구’이다. 욕구의 의식 욕구의 의식은 대상을 부정함으.. 2023. 2. 9. 이전 1 2 3 4 5 다음